시작하는 노트
2022

순환랩 2021

2021년 사회 문제에 대응하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 시도한 아르떼 파일럿 프로젝트, 순환랩에 대한 해석과 기록을 담았습니다.
by 해석 그룹

환경+문화예술교육

순환랩은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환경으로 인식하고, 존재들 간의 연결고리를 스스로 탐구하면서 환경 감수성을 길러나가는 문화예술교육입니다. 2021년 아르떼는 ‘기후 위기와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을 화두에 올렸습니다. 이를 논하는 공론 자리와 더불어 실행했던 여러 아트프로젝트를 통해 아르떼로 되돌아온 질문은 “과연 누구에게 위기인가?”입니다. 지금의 위기는 자연이 아니라 인간이 처한 위기입니다. 거북이 배 속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오는 장면, 빙하가 녹는 장면, 원시림이 파괴된 장면을 보면서 환경을 염려하지만 사실 그로 인해 가장 위기에 놓인 건 인간의 삶입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외면한 채 인간 이외의 존재를 생존 수단으로만 삼았기에 초래한 결과입니다. ‘환경을 살리고 보존하는 방법을 찾는 위치’에 사람이 서 있는 한 위기에 대한 해법을 찾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나 자신이 환경 밖에 있는 존재가 아니라 환경의 일부임을 자각하고 그 안에서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에 관해 묻고 대화를 나누면서 아르떼가 갖게 된 생각입니다. 이를 실천으로 옮긴 프로젝트가 바로 순환/ 입니다. 순환이란 내가 소비하고 있는 물건, 대상화하여 바라보았던 자연물과 나 사이의 연결을 탐색하는 둥그런 고리를 뜻합니다. 순환 고리 안에서 생물과 무생물, 인조와 자연의 경계는 없습니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녹색의 자연으로 환경을 한정 짓지 않습니다. 내 삶을 이루는 모든 물질적 조건을 환경으로 여깁니다. 순환을 주제로 환경 문제를 다루는 에서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길을 안내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배우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탐구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자신의 경험을 발판으로 삼아 길을 안내하는 예술가·작업자는 그 경험을 미리 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상 밖의 질문과 탐구를 하는 참여자들에게 자신도 무언가 배웁니다. 예술가·작업자를 따라 가보지 않았던 길에 나선 참여자들은 각자의 연구 주제를 가지고 스스로 탐구하면서 자신이 속한 환경에 대해 이전과는 다른 인식과 감각을 갖습니다.
박찬응 예술감독(순환랩 ‘부들 이야기' 랩장) : 부들 이야기 랩의 첫 번째 원칙은 '불연기연'이에요. 그렇지 아니함과 그러함이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그러함과 그렇지 아니함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는 거죠. 우리가 그러하다고 배운 것도 함께 공부함으로써 다시 생각해보고, 그 관계에 대해서 늘 자각하는 것.
순환랩은 문화예술교육자와 참여자가 있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모두가 연구원이 되어 각자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 맞는 탐구 방식을 실행하고, 그 경험을 공유하는 실험과정입니다.
제롬 작가(순환랩 ‘현재를 찾아서' 랩장) : 교육자도 피교육자도 교육에 대해 눈치를 봐요. 학습된 자기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서. 이미 예정된 요구 사항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교육 활동은 진실하지 않습니다. 이런 생각과 태도를 제거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교육이 완전히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그 누구도 확정적인 해답을 가지고 있지 않은 환경이라는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예술가 혹은 예술교육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가르치는 태도가 아니라 경험을 공유하는 태도를 가지고 상황 중심 / 과정 중심 / 장소 특정적 실천(참고 논문)을 해나가는 것이 순환랩의 방식입니다.

기획 노트

순환랩 기획자가 어떤 관점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는지, 프로젝트를 마친 후 기획자는 또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살펴 볼 수 있습니다.

7개 랩

2021년 순환랩 프로젝트는 7개의 랩으로 구성했습니다. 각 랩별 자체 기록 자료, 해석그룹의 인터뷰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해석 전시

순환랩 해석 그룹이 기획한 전시입니다. 아르떼 순환랩 사업의 취지, 기획자의 노트, 각 랩 현장 관찰과 인터뷰, 랩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관련한 활동을 해왔던 분들과 나눈 이야기를 바탕으로 삼았습니다.

인터뷰 기록

참고 논문 : 환경교과 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의 역할 생태작가 4인의 인식 탐색.pdf
6502.6KB

참여 그룹

부들이야기 by 지역기반예술연구소 르바
현재를 찾아서 by 제롬 작가
불로 움직이는 체스 by 임상빈 작가
서울 아까워 캠프 by 피스오브피스
남김 없이 by 지향사
물살이 구조대 by 재주도좋아
어린이정원사의 그림일기 by 국립세종수목원